2025 상명대 논술 국어 모의문제, 꼼꼼하게 파악하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목동씨사이트 댓글 0건 조회 3회 작성일 25-05-03 16:46본문
【상명대 논술 국어 2025 모의문제 분석】
안녕하세요?
약술형논술 전문학원
목동씨사이트예요.
봄날씨도 오락가락하고,
3월 모의고사를 치르고,
걱정만 앞서는데요.
그동안 준비했던 모의고사의
실력을 점검하고
올해 입시 전략을
계획해봐야겠죠?
2025학년도 약술형논술 전형이
신설된 대학은
상명대, 신한대, 을지대였어요.
경쟁률이 높았던 상명대 논술은
서울캠퍼스와 신설 전형이라는 이점이
크게 작용한 결과겠죠.
101명 모집에 7,233명이 지원해
71.61 : 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어요.
높은 경쟁률만큼
실제 문제가 어떻게 출제될지에
관심이 많았는데요.
이미 공개되었던 모의문제를 기준으로
국어는 어렵지 않게 출제되었고,
수학은 어렵게 출제되었다는
시험후기가 많았어요.
오늘은
2025학년도 모의문제와 출처가 된
수능특강을 비교하여
상명대 논술 국어를 대비해 볼게요.
먼저 상명대는 계열별로
문항 수 차이가 커요.
계열별 특성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이지만,
문항 수의 차이가 커서
어렵지 않은 수준의 문제라도
인문에서는 수학, 자연에서는 국어
2문제가 추가되어 있는 느낌이
부담일 수 있겠죠.
상명대 논술 국어는
인문의 경우 8문제예요.
인문 모의 8문제는
화법과 작문 3문제, 언어 1문제,
독서 3문제, 문학 1문제로
구성되었어요.
2025학년도 모의문제이지만,
신설 전형이다 보니
2024학년도 수능특강인 것이
특징이에요.
화법과 작문 3문제를 정리해 보면
약술형논술을 먼저 시작한
가천대나 삼육대의 문제와
비슷한 유형도 있고,
그렇지 않은 유형도 제시하여
상명대만의 특징을 나타냈어요.
1번의 화법과 작문은
수능특강에서 작문 계획이
실제 반영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파생된 문제네요.
'그린워싱'의 개념과 문제점,
규제 방향과 같은 대화의 핵심 내용도
정리가 필요해요.
6번의 화법과 작문은
접속 부사 넣기 유형으로
수능특강에서 작문 과정 중
고쳐 쓰기 단계에서
문장 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접속어를 바르게 고치는 유형에서
파생되었어요.
작문과 독해 과정 중 기본 개념으로
문장 간의 관계를 고려해 보는
연습이 필요해요.
8번의 화법과 작문은
독서 문제와 같이
핵심 내용 빈칸 넣기 유형으로
출제된 것이 특징이에요.
화법과 작문도 문제를 풀 때는
독해에 해당하므로
독서와 같은 문제 유형을
대비할 수 있도록
내용 정리 연습도 필요해요.
4번의 언어는 8문제 중
유일하게 수능특강이 연계되지 않고
교과서 지문을 활용하여
생활과 밀접한 예시들을 활용하고 있어요.
그러므로 언어의 기본 이론을 학습하고
예시에 적용해 보는 연습이 필요해요.
3번의 독서는
지문의 내용을 파악하고
핵심어를 찾아 쓰는 유형이에요.
수능특강에서도 개념 부분에서
주관식으로 제시된 문제와
거의 동일해요.
5번의 독서는
동일한 주제에 대해 서로 다른 주장을
비교하는 유형이에요.
동일한 화제라도 서로 다른 관점을
파악하는 연습이 필요해요.
7번의 독서는
다른 학교에는 제시되지 않았던
유형으로 2문제의 소문제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에요.
하지만,
수능특강의 세부 내용의 일치를 묻는
독서의 가장 기본 유형에 해당해요.
고전 시가 지문에 쓰인 시어의
함축적 의미를 제시하고
해당 시어를 찾아 쓰는 유형이에요.
수능특강의 객관식 문제를
주관식 유형으로 바꾸어
가장 유사도가 높은 문제로 볼 수 있어요.
상명대 논술 국어는
자연의 경우 2문제예요.
1번과 2번 모두 독서 문제였어요.
하지만 실제 시험에서는
언어가 출제되어 당황스러웠지만,
어렵지 않은 수준이어서
풀 수 있었다는 후기가
있었어요.
결론적으로
상명대 논술 국어는 모의 문제에서
새로운 유형을 시도하였지만,
EBS나 교과서와
제시문 내용이 일치하고
문제의 의도가 동일하다고
볼 수 있어요.
그렇다면 상명대 논술 국어는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요?
100% 연계는 아니더라도
국어의 기본 개념과 문제 의도가
EBS교재와 동일하므로
2026학년도 EBS교재로
대비해야 해요.
2026학년도 신입학 전형의
내용이에요.
모집인원은 85명이에요.
전형방법은
논술 90% + 학생부교과 10%예요.
수능최저학력기준은 없어요.
2026학년도 확정 내용은
추후 모집요강을 확인해야 해요.
2025학년도 논술고사는
오전과 오후에
자연 A, B, 인문 A, B로
총 4개의 그룹으로 나뉘어
진행되었어요.
높은 경쟁률로 많은 사람들이 몰렸고
신설 전형이다 보니
진행이 매끄럽지 못한 경우도 있었다는
후기를 참고해
올해는 개선된 모습을 보일 것을
기대해 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